🍼 육아 토크

육아 및 출산 지원금 정책, 어디서 알아봐야할까?

댄디라이언 2023. 9. 11. 23:21
반응형

 

지금도 다양한 출산 & 육아 관련 정책, 지원금 관련 정보가 계속 등장하고 있다. 물론 아쉬운 부분이 많고, 실효성이 있다고 판단하기 어려운 것들도 많지만 그래도 지속적으로 관심 갖고 무엇이든 해보려고 하는 노력 자체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면도 분명 있다고 생각한다. 좋던 싫던 결국 우리의 관심과 많은이들의 노력이 언젠가 결실을 맺고 더 나은 방향성이 제시된다면 그보다 더 좋은일이 있을까?

 

이번 시간에는 출산 및 육가 관련 정책을 펼치는 기관들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사실 정책이나 지원금 자체가 지자체 마다, 그리고 주관하는 곳이 어디냐에 따라 또 조금씩 내용이나 계획 등에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전국 적으로 시행되는 광범위한 정책인지, 지역이나 단체마다 다른건지, 나이대는 또 어떻게 되고, 적용되는 기준은 어떻게 되는지.. 이 모든것들을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서는 어디에서 정책을 펼쳐나가고 주관하는지에 대한, 즉 뿌리에 대해 알아야 할 필요가 분명 있을것이다.

 

그래서 오늘은 간단하게 어떤 곳들이 주로 육아, 출산 관련 정책을 펼치고 있는지 대략적으로 언급하고 확인해 보는 시간을 가져 보려고 한다. *출처 : 육아정책연구소

 

 

첫번째, 교육부에서 주관하는 유아교육 정책은 많은 육아 중인 부모들이 관심 갖을 만한 정책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접해볼 수 있다. 출산을 계획중이거나, 육아를 시작한 부모들이라면 아마 교육부에서 시행하는 정책들을 많이 경험해 보셨을 수 있는데, 정작 '이게 교육부 주관이라고?' 라고 생각되는 것들도 분명 있었으리라 생각된다.

 

 

두번째는 보건복지부다. 보건복지부 역시 육아 관련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기 때문에 주의 깊게 관심 갖을 필요가 있는데, 기본적으로 보육 정책과 인구 아동 정책 등을 보건 복지부에서 체크 해 볼 수 있는 것으로 확인 된다.

어쩌면 이곳에서 가장 많은 정책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했던 분들이 대다수일것 같다. 여성가족부 가족 정책 역시 우리가 육아, 출산 관련 정책의 뿌리를 찾아 볼때 자주 만나보게 될 곳이다.

고용노동부 역시 일 & 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비롯하여 다양한 육아 관련 정책을 살펴 볼 수 있는데, 이처럼 육아 & 출산 정책이나 지원금도 한곳에서 주관하는 것이 아니라 정책의 속성, 성향에 따라 조금씩 부서가 다르기 때문에 관련 정책이나 지원금에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다면 관계가 깊은 부서를 더 자세히 확인해볼 필요가 분명 있을 것 같다.

 

 

앞으로도 지역, 사회적 그리고 국가적으로 정말 다양한 육아/출산 관련 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각계각층 노력이 필요할텐데, 단순히 보도자료 헤드라인만 보고 무엇이든 판단하기 보다, 내가 관심 있는 정보, 정책, 자료에 대해 더 빠르고 정확하게 알아보고 싶다면 위에 소개 해 드린 부서 사이트 등에 방문해서 더 알아보면 유익한 소식들을 놓치지 않고 파악해 나갈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