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육아정책3

22년 기준 출생 통계 분석, 합계출산율 흐름 이대로 괜찮을까? 육아정책연구소 - 통계청 정보에 22년 출생 통계 분석 결과가 공유 되었다. 우리나라 합계 출산율은 매년 참혹하게 감소하며, 저출산 문제가 항상 사회적으로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렇다면 합계출산율 수치의 안쪽을 더 깊게 들여다보면 어떤 모습일까? 통계청의 요약 정보에 따르면 22년 출생 통계 분석 결과 요약은 다음과 같다. 22년 출산 통계 요약 - 출생아 수는 24만 9천 명으로 전년대비 1만 1천 명(-4.4%) 감소 - 35세 미만 연령층의 출산율은 감소, 35세 이상 연령층의 출산율은 증가 - 모의 평균 출산연령은 33.5세, 전년대비 0.2세 상승 - 전년대비 첫째아는 8천 명(5.6%) 증가, 둘째아는 1만 5천 명(-16.7%) 감소 - 합계출산율은 세종(1.12명)과 전남·강원(0.9.. 2023. 9. 1.
정부 출산 장려 지원 정책 지원금 방향성 이대로 흘러가는게 맞는가? 대한민국 합계 출산율은 매년 꾸준하게 감소하고 있다. 정말 크나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노년층이 두터워지고, 그로인해 실버산업은 흥행하고 있으며, 점차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이나 교육, 소아과 등은 무너져 내리고 있다. 그저 한 축이 무너지고 있는 문제가 아니다. 지금은 어느 한 분야가 그저 힘을 못쓰고 있을 뿐이고, 유행이 돌고 돌듯 언젠가 육아 산업도 다시 호황을 맞이할 것이다... 는 그저 꿈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아이들이 없으면 결국 미래가 없는 것이다. 당장에는 피부에 와닿는 문제가 없을지 몰라도, 10년~20년 안에 우리나라는 분명 큰 문제들에 직면하게 될지도 모른다.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는 것인지 다양한 출산 장려 정책을 이곳저곳에서 펼쳐나가고 있다. 하지만 정책 방향성이 맞.. 2023. 8. 24.
2020년 육아정책 유명무실함을 넘어서게 될까? 육아정책에 관심 있는 분들이시라면 2020년 부터 적용되게 될 육아정책에 대해 알아 보신 분들이 참 많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사실 우리나라의 육아정책이라고 정의 되어 있는 것들 중 정말 피부에 와닿는 혜택? 이랄 것은 의외로 많지 않아서 아쉬울때가 많습니다. 실제 3명~4명 자녀를 키우는 부모들 조차도 '이런 혜택이 있었어?' '이정도로 혜택이라 할 수 있나?' 라는 말이 절로 나올 정도로 현실적이지 못한 혜택들이 정말 많은데... 과연 누구를 위한 정책이고 누구를 위한 혜택인지 다시 한번 모두가 생각해야 할 부분이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듭니다. 실제 많은 육아정책들이 '현실적이지 못하다' 라는 평을 듣고 있는데, 그 중 가장 현실적이니 못했'던' 부분을 꼽으라면 저는 다자녀 기준이라 말하.. 2019. 10. 23.
반응형